조선전기의 정치

안녕하십니까? 소호의 세상입니다. 오늘은 조선전기의 정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선의 건국과정

최영 등이 요동 정벌을 단행 하였고, 4불가론을 내세우며 요동정벌을 반대하던 이성계등이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정치적인 실권을 장악하였다. 이성계는 과전법을 실시하여 권문세족이 불법적으로 소유한 토지를 몰수하여 신진관료들에게 토지를 지급하였고 농민들의 경작권을 보호하였다. 정도전과 이성계는 정몽주 등 일부 온건개혁파 신진 사대부들을 제거하고 1392년 조선을 건국하였다.

통치 기반 마련과 유교 정치의 실현

1. 태조 : 태조 이성계는 국호를 ‘조선’이라 하고 한양으로 천도하였다. 정도전이 한양에 설계한 것에 따라 경복궁을 축조하고 종묘와 사직을 건설하였다. 초기적인 유교정치의 실현은 정도전이 전체적인 기틀을 마련하였고, 정도전은 한양도성을 설계하고 재상중심의 정치를 주장하였으며, 민본주의적인 통치 규범을 확립하기 위해 조선경국전과 경제문감을 저술하였고, 불씨잡변을 저술하여 불교가 아닌 유교를 나라의 기틀로 확립하고자 하였다.

2. 태종 : 태종은 두차례의 왕자의 난을 거쳐 즉위하였고, 왕권강화를 위한 체제 정비를 중요시 하였다. 예를 들면 6조 직계제를 실시하여 의정부를 거치지 않고 6조에게 바로 명령과 보고를 받았으며, 사병을 폐지하여 사대부들의 권력강화를 방지 하였고, 문하부 낭사(간쟁담당)을 분리하여 사간원으로 독립 시킴으로써 왕권을 강화 하고자 하였다.

3. 세종 : 세종은 태종과 반대로 의정부 서사제를 실시하여 왕권과 신권의 조화를 추구하였고, 집현전을 설치하여 왕과 신하의 정책토론을 활성화 시켰으며, 그 결과 훈민정음을 창제, 반포하였다. 또한 여진에게는 최윤덕과 김종서 장군을 시켜 4군과 6진을 정벌하게 하였고, 일본에게는 이종무를 시켜 쓰시마 섬을 토벌하게 하였다.

4. 세조 : 세조는 단종을 몰아내고 계유정난을 일으켜 즉위 하였다. 세조는 다시 왕권강화에 힘쓴 왕이다. 6조직계제를 부활하였으며, 집현전과 경연을 폐지시키고, 함길도의 토착세력들이 일으킨 이시애의 난을 진압하고, 유향소를 폐지하여 사대부들의 권력을 약화 시켰다. 또한 경국대전 편찬을 시작하여 나라의 기틀이 되는 법을 편찬하기 시작하였고, 직전법을 실시하여 현직관리에게만 수조권을 지급하기 시작하였다.

5. 성종 : 성종은 집현전을 계승한 홍문관을 설치하여 경연을 확대실시하였고, 세조 곁의 관리들을 경계하기 위해 사림들을 등용하였다.(김종직 등의 사림을 홍문관과 대간에 임명하여 비판하게 함) 또한 경국대전을 완성하여 반포하였고, 국가의 기본예식 5가지를 정리한 국조오례의도 편찬하였다.

사림의 대두

사림의 정치적 성장

성종때 훈구세력들을 견제하기 위해 사림을 등용하였고 사림들은 주로 3사의 언관직에 진출하여 훈구 세력을 비판하여 훈구세력들과 대립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4번의 큰 사화로 사림의 세력이 위축되었고, 16세기 후반 선조때 부터 사림들이 정치의 주도권을 장악하게 된다.

1. 훈구세력 : 조선 건국에 공을 세운 급진 개혁파(혁명파)신진 사대부와 세조가 왕위에 오르는데 공을 세운 공신들을 말한다. 정치적인 성향은 중앙집권과 부국강병을 강조한다.

2. 사림세력 : 조선 건국에 참여하지 않고 낙향하여 학문 연구와 교육에 힘쓴 온건 개혁파 신진사대부를 말한다. 정치적인 성향은 왕도정치와 향촌자치를 추구한다.

사화의 발생

1. 무오사화 : 연산군때 발생하였다. 김종직의 제자인 김일손이 김종직의 조의제문을 사초에 실은 것을 훈구세력이 문제삼아 사림을 공격하였고, 그 결과 김일손 등의 사림 세력이 제거 되었고, 김종직의 부관참시, 영남세력의 몰락이 이어졌다.

2. 갑자사화 : 연산군때 발생하였다.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윤씨 사사 사건이 폭로되어 폐비윤씨 사사 사건에 연루된 한명회 등이 부관참시 되었고, 김광필 등의 사림 대부분이 몰락하였다.

3. 기묘사화 : 중종때 발생하였다. 중종때 조광조가 개혁정치를 주장하며 위훈삭제, 현량과 실시, 소격서폐지, 소학 보급과 공납 개선 등을 주장하였다. 그 중 중종반정때 공을 세운 공신들이 거짓된 공을 위로하는 위훈을 삭제해야함을 주장한 위훈삭제가 공신들의 반발로 이어졌고, 결국 조광조가 사사되고 사림 세력이 몰락하게 된다.

4. 을사사화 : 명종때 발생하였다. 외척인 대윤 윤임과 소윤 윤원형의 권력 다툼으로 인해 윤임 일파가 제거 되었고, 윤임과 연결된 영남. 호남 출신의 신진사림이 피해를 입었다. 또한 양재역에서 문정왕후를 비판하는 벽서가 발견되는 양재역 벽서 사건이 발생하였고 이를 구실로 윤원형 등이 반대파를 숙청하는 과정에서 이언적 등 사림이 피해를 입었다.

사림의 세력기반

유향소, 서원, 향약을 기반으로 향촌 사회에서 세력을 확대하며 넓혀갔다.

붕당의 형성

배경

선조때 사림이 정치를 주도하면서 이조 전랑직와 척신정치의 잔재 청산 문제를 둘러싸고 기성사림과 신진 사림의 대립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 결과 동인과 서인의 붕당이 형성 되었다.

붕당의 형성

1. 동인 : 신진사림으로 구성되어 척신 정치의 과감한 청산과 사림 정치의 실현을 주장하는 파. 이황, 조식, 서경덕의 학문을 계승하며 이조전랑직을 두고는 김효원을 지지하였다.

2. 서인 : 기성 사림으로 구성되어 척신 정치 청산에 소극적으로 행동한 파. 이이와 성혼의 문인으로 이조 전랑직과 관련하여 심의겸을 지지 하였다.

Leave a Comment